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2

주식시장 용어 vs 코인시장 용어(투자언어 비교) 주식과 코인(가상자산)은 모두 '투자'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용하는 용어나 개념은 매우 다르게 보면 된다. 초보 투자자일수록 이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판단을 잘못하거나 시장에 대한 흐름을 잘못 해석할 수 있다.가격 흐름 관련 용어 비교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표현하는 방식은 주식과 코인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지만, 표현 방식과 용어 사용에는 다른점이 있다. 주식시장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표현은 '상승장(불마켓)'과 '하락장(베어마켓)'입니다. 이는 각각 'bull market', 'bear market'의 번역어로,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를 상징한다. 이 외에도 '우상향', '횡보장세', '조정', '반등', '고점 돌파' 등과 같은 표현들이 자주 등장한다. 반면, 코인시장에서는 '떡상', '떡락'.. 2025. 5. 5.
국내외 주식개념 차이: 글로벌 투자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국내 주식뿐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 등 해외 주식에 대한 관심도 크게 늘고 있다. 하지만 각 국가의 시장마다 사용하는 용어나 개념, 투자 문화에는 차이가 있어 정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잘못된 투자를 할 수 있다.기업 정보 공개 방식의 차이한국과 해외 주식 시장은 기업의 정보 공개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한국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모든 상장 기업이 재무제표, 사업보고서, 공시자료 등을 제출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정보가 비교적 통합되어 있어 기업별 정보를 상대적으로 찾기 쉬운 구조입니다. 반면 미국은 증권거래위원회(SEC)의 EDGAR 시스템을 통해 기업 정보를 공개하며, 이곳에서는 10-K, 10-Q, 8-K 등 다양한 보고서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 2025. 5. 5.
주식 초보가 꼭 알아두면 좋은 개념들 코로나19 이후 주식 시장에 진입한 인구 수가 급증하였다. 흔히 말하는 불장에 들어가 수익을 맛 본 사람들이 많았고 그의 영향에 따라 지금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음이다. 하지만 주식 시장에 입문하려 할 때 가장 먼저 마주치는 장벽은 바로 어려운 용어들일 것이다. 핵심 개념을 정확히 이해한다면 주식 용어들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을 것이다.PER, PBR부터 이해하자PER(주가수익비율)은 주가가 기업의 수익에 비해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갖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주가가 10만 원이고, 1년간 벌어들인 순이익이 주당 1만 원이라면, PER은 10이 된다. 이 수치는 투자자가 해당 기업의 수익을 기준으로 몇 년치의 이익을 보고 있는지를 나타내 준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으.. 2025. 5. 5.
경제 원리 쉽게 생각하기(수요공급, 게임이론, 기회비용) 경제학은 어렵고 딱딱하다는 고정관념이 강하지만, 일상과 밀접한 개념으로 접근하면 훨씬 쉽고 유익하게 느껴질 수 있다. 경제의 핵심 원리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자 실생활에 자주 등장하는 수요공급, 게임이론, 기회비용에 대해 가볍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자.수요공급으로 보는 일상경제경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는 바로 수요와 공급이다. 이 개념을 잘 이해하면 물가가 왜 오르고 내리는지, 왜 어떤 물건은 구하기 힘든지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다. 수요란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이고 공급은 생산자가 그 상품을 시장에 제공하는 양을 의미한다. 이 두 가지가 만나는 지점이 바로 시장가격을 결정하는 균형점이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에 수박이 인기를 끌면서 수요가 급증하면 가격도 덩달아 오.. 2025. 5. 5.
MZ세대가 빠진 경제 콘텐츠(짧은 영상, 밈, 뉴스레터) MZ세대는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전통적인 방식의 정보 전달에는 큰 흥미를 느끼지 않는 것 같다. 대신 그들은 빠른 소비가 가능하고, 재밌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크다.짧은 영상 콘텐츠의 인기(숏폼)짧은 영상 콘텐츠(일명 Short-Form)는 MZ세대 사이에서 경제 정보를 가장 빠르게 확산시키는 채널입니다. 특히 TikTok,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같은 플랫폼에서 1분 이내로 경제 개념이나 뉴스 이슈를 전달하는 방식에 크게 선호한다. MZ세대는 긴 설명보단 핵심만 간결하게 전달해주는 콘텐츠를 선호하며, 흥미로운 편집이나 유머 요소가 포함된 영상일수록 반응이 좋다. 예를 들어, '금리가 뭐길래?' 같은 주제를 30초 안에 설명하는 영상을 보면 이해하기 쉬울 뿐 아니라 기억에도 .. 2025. 5. 5.
2024 vs 2025, 경제 어떻게 달라졌나(인플레이션, 고용시장, AI산업) 해마다 변화하고 있는 세계 경제는 각 시점에서 서로 다른 이슈들이 전개된다. 2024년과 2025년을 비교하면, 경제의 중점이 미묘하게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인플레이션의 상황은 계속되고 있지만 고용시장은 AI 확산과 맞물려 재빨리 재편되고 있으며 AI 산업은 상업화를 넘어 산업 전반에 녹아들고 있다.인플레이션: 진정된 물가, 그 이면의 긴장감2024년은 전 세계적으로 고물가의 행보가 계속되던 시기였다. 특히 미국과 유럽은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가격과 식료품 물가가 치솟는 것을 막지 못했다. 한국 역시 2023년의 고물가 상황에서 벗어나기 어려웠고, 이에 따라 소비 위축과 기업 이익 감소가 겹치며 내수 경기 부진이 지속됐다. 하지만 2025년으로 넘어오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비교적 안정세.. 2025.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