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정부가 전세시장 안정을 위해 강력한 대출규제와 갭투자 차단책을 내놨지만, 오히려 서울 전세시장에서는 매물 부족과 가격 상승이라는 정반대 현상이 벌어지고 있어요. 세입자들의 주거 부담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현재 전세시장의 실상과 앞으로의 전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KB부동산 전세수급지수 및 서울 전세 실거래 현황 - 7월 3주 전세수급지수 145 기록, 매물 8.1% 감소

 

 

 

 

📊 전세수급지수로 본 시장 현황

KB부동산 주간 전세수급지수 데이터를 보면 상황의 심각성이 한눈에 보여요. 7월 셋째 주 서울 전세수급지수가 145를 기록하면서, 5월 첫째 주 134.4에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거든요.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점으로 해서:

  • 100 이상: 수요가 공급보다 많음 (매물 부족)
  • 100 이하: 공급이 수요보다 많음 (매물 여유)

현재 145라는 수치는 전세 매물 공급 부족 현상이 심각한 수준임을 의미해요.

📉 전세 매물 급격한 감소 현황

아실 데이터에 따르면 실제 매물 감소 폭도 상당해요:

  • 현재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 24,154건
  • 두 달 전 매물: 26,276건
  • 감소율: 8.1% 줄어든 상황

매물이 줄면서 자연스럽게 전세가격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에요.

🏛️ 정부 대책과 예상치 못한 시장 반응

지난 6월 27일 정부가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의 핵심 내용을 보면:

  •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이하 제한
  •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제한
  • 갭투자 억제를 통한 투기 수요 차단

하지만 시장 반응은 정부 기대와 정반대였어요. 갭투자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기존 전세 물량까지 빠르게 사라지면서 매물 희소성이 더 심해졌거든요.

 

 

 

 

💰 지역별 전세가격 상승 현황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셋값은 오히려 상승폭을 키우고 있어요.

지난주 전세가격지수 상승률 순위:

  • 송파구: 0.41% 상승 (1위)
  • 강동구: 0.3% 상승
  • 노원구: 0.23% 상승
  • 구로구: 0.14% 상승

강남권뿐만 아니라 노원구 등 중저가 지역까지 전셋값 상승이 전이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해요.

🏠 전세 실거래 신고가 행진

최근 신고된 전세 실거래가를 보면 '전세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어요:

  • 서초구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84㎡: 보증금 24억원
  •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84㎡: 12억원
  • 마포구 대흥동 대림아파트 130㎡: 12억8,000만원

노원구 중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전세 매물 자체가 너무 없어서 500만~1,000만원씩 웃돈을 붙여야 계약이 가능하다"**고 현장 상황을 전했어요.

📈 갱신 계약에서도 보증금 인상 불가피

기존 세입자들의 갱신 계약 현황도 심각해요.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분기 전국 전세 갱신 계약 현황:

  • 전체 갱신 계약: 68,932건
  • 증액 갱신 계약: 69.4% (47,852건)
  • 직전 분기 대비: 41% 증가
  •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

세입자 10명 중 7명이 보증금 인상을 감수하면서 갱신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 전세의 월세화 가속과 집주인 심리

집주인들은 보증금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전세의 월세화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어요. 이로 인해:

  • 세입자 선택지 감소
  • 월세 부담 증가
  • 전세 매물 추가 감소 악순환

갭 투자 막히자, 매물 ↓ 가격 ↑ 갈 곳 잃은 서민들

💡 전문가 분석과 향후 전망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수요 억제 정책은 일정 부분 효과를 내고 있지만, 공급이 받쳐주지 않으면 전셋값 상승 등 부작용을 피하기 어렵다"**고 분석했어요.

전세시장 안정의 핵심:

  • 신규 입주 공급 확대가 가장 중요
  • 수요 억제만으로는 한계 명확
  • 공급 확대 정책이 동반되어야 효과적

현재 서울 전세시장은 공급 감소가 근본 원인이 되어 가격 상승 압력이 지속되고 있어요. 세입자분들은 당분간 어려운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니, 전세 계약 시 충분한 시장 조사와 신중한 판단이 필요할 것 같아요.🏡📊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