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 / 2025. 5. 21. 17:57

5월은 자동차세(정리, 노하우)

반응형

5월은 자동차세(정리, 노하우)

매년 찾아오는 자동차세 고지서, 받을 때마다 '이게 왜 이렇게 나오지?' 하고 궁금하신 적 있으시죠? 자동차 소유자라면 피할 수 없는 세금이지만, 정확히 어떻게 계산되고 언제 납부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요. 오늘은 자동차세에 관한 모든 것과 현명하게 절세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

📌 국세청 자동차세 간편 조회 서비스에서 내 차 세금 쉽게 확인하세요!

 

 

자동차세란 무엇인가요?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의 한 종류예요. 소유 자체에 대해 내는 세금이라 실제로 차를 운행하지 않더라도 내야 해요. 자동차세는 지방자치단체의 중요한 세수원으로, 도로 유지보수나 교통 시설 개선 등에 사용된다고 해요.
특이한 점은 다른 세금과 달리 1년에 두 번 나눠서 납부할 수 있다는 거예요. 6월과 12월에 각각 절반씩 내거나, 1월에 한 번에 납부하면 10% 할인 혜택도 있답니다!

자동차세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1. 배기량 기준 계산
일반 승용차의 경우 배기량(cc)에 따라 세액이 달라져요. 배기량이 클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됩니다.

배기량 1cc당 세액
1,000cc 이하 80원
1,600cc 이하 140원
2,000cc 이하 200원
2,500cc 이하 260원
2,500cc 초과 320원


예를 들어, 1,500cc 자동차라면 1,500 × 140원 = 210,000원이 연간 자동차세로 계산돼요.

2. 차령에 따른 감면
차량 연식이 오래될수록 차령에 따른 감면 혜택이 적용돼요.

  • 3년 이하: 100% (감면 없음)
  • 4~5년: 95% (5% 감면)
  • 6~7년: 90% (10% 감면)
  • 8~9년: 80% (20% 감면)
  • 10~11년: 70% (30% 감면)
  • 12년 이상: 60% (40% 감면)


예: 2017년식 차량은 2025년 기준 8년 차량 → 기본 세액의 80%만 납부.

3.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 차량
2025년 기준으로 전기차, 수소차는 자동차세 전액 면제, 하이브리드 차량은 50%만 납부합니다.

자동차세 납부 시기와 방법

1. 납부 시기

  • 정기분: 6월(1/2), 12월(1/2)
  • 연납: 1월 (10% 할인), 3월 (7.5% 할인), 6월 (5% 할인), 9월 (2.5% 할인)


2. 납부 방법

  • 인터넷: 위택스(www.wetax.go.kr)
  • 모바일: 스마트 위택스 앱
  • 은행/ATM: 전국 은행 및 현금자동지급기
  • 카드 자동납부: 신용/체크카드 자동납부 신청
  • 자동이체: 계좌 자동이체 신청


요즘은 모바일 앱으로 간편하게 납부하는 분들이 많아요. 알림도 받을 수 있고 영수증도 바로 저장할 수 있어서 편리하죠!

2025년 자동차세 절세 꿀팁

1. 연납 제도 활용하기
1월에 연세액을 한 번에 납부하면 10% 할인!
예: 자동차세 50만원 → 연납 시 45만원 납부, 5만원 절약

2. 공동명의 활용하기
가족 중 장애인, 국가유공자가 있다면 공동명의 등록 시 감면 혜택 가능.
단, 실제 사용 목적이 해당 대상자의 이동 편의성을 위한 경우여야 함.

3. 불필요한 차량 말소
사용하지 않는 차량은 폐차 또는 말소 등록 권장.
→ 말소 등록한 다음 달부터 자동차세 부과되지 않음
예: 5월 말소 → 6월부터 세금 없음

4. 친환경 차량으로 교체
전기차, 수소차는 자동차세 전액 면제 및 보조금 지급 등 혜택 다수.
차량 교체 시 적극 고려해볼 가치 있음.

자주 묻는 질문

 

 

Q: 중고차를 구매했을 때 자동차세는 어떻게 되나요?
A: 자동차세는 매년 6월 1일, 12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부과. → 중고차 구매 시, 등록일 이후의 세금만 납부. → 연납했을 경우 일할 계산 정산.

Q: 자동차세를 체납하면 어떻게 되나요?
A: 납부기한 경과 시 3% 가산금 부과. 이후 매월 0.75% 중가산금 발생 (최대 5년). → 체납 시 차량 압류 등의 불이익 발생.

Q: 일시적으로 차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세금을 내야 하나요?
A: 네, 자동차세는 소유에 부과되는 세금. 운행 여부 무관.
→ ‘임시 운행중지’ 신청 시 최대 6개월 감면 가능.

자동차세는 피할 수 없지만, 정확히 알고 제도를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특히 연납 제도나 친환경 차량 혜택 등을 잘 활용하면 매년 적지 않은 금액을 절약할 수 있답니다.
본인의 차량 연식과 배기량을 확인해보시고, 올해는 좀 더 현명하게 자동차세를 납부해보세요. 세금은 줄이고, 드라이브의 즐거움은 두 배로 느끼시길 바랍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다른 차주 분들에게도 공유해주세요!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