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Z세대가 빠진 경제 콘텐츠(짧은 영상, 밈, 뉴스레터)

by courtside 2025. 5. 5.
반응형

MZ세대가 빠진 경제 콘텐츠(짧은 영상, 밈, 뉴스레터)

MZ세대는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전통적인 방식의 정보 전달에는 큰 흥미를 느끼지 않는 것 같다. 대신 그들은 빠른 소비가 가능하고, 재밌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크다.

짧은 영상 콘텐츠의 인기(숏폼)

짧은 영상 콘텐츠(일명 Short-Form)는 MZ세대 사이에서 경제 정보를 가장 빠르게 확산시키는 채널입니다. 특히 TikTok,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같은 플랫폼에서 1분 이내로 경제 개념이나 뉴스 이슈를 전달하는 방식에 크게 선호한다. MZ세대는 긴 설명보단 핵심만 간결하게 전달해주는 콘텐츠를 선호하며, 흥미로운 편집이나 유머 요소가 포함된 영상일수록 반응이 좋다. 예를 들어, '금리가 뭐길래?' 같은 주제를 30초 안에 설명하는 영상을 보면 이해하기 쉬울 뿐 아니라 기억에도 오래 남게 된다. 또한, 자막이나 배경음악, 이모티콘을 활용해 시청자의 집중력을 유지하게끔 한다. 이런 콘텐츠는 알고리즘을 통해 확산되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이 수십만 회 이상 재생되며 정보 전달 효과에도 탁월하다. 경제 유튜버 중에서는 '경제 읽어주는 남자', '신사임당', '슈카월드'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 역시 짧은 클립으로 경제 개념을 쉽게 풀어주며 MZ세대의 지지를 받고 있다. 영상 콘텐츠는 복잡한 경제 개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반복 시청이 가능해 학습 효과도 높다. 하지만 MZ세대의 숏폼은 점점 짧아져가는 추세이다. 더 이상 1분의 영상도 보려하지 않으며 현재는 15~20초의 영상을 보려는 경향이 크다. 짧아지는 영상에서 이 많은 내용들을 다룰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과 해결법을 찾는 것 또한 우리의 숙제가 아닐까 한다.

밈(Meme)으로 풀어낸 경제

밈은 MZ세대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문화 요소이며, 경제를 이해하는 도구로도 매우 유용하다. 경제 밈은 어려운 개념을 웃기고 유쾌하게 표현하여 정보 전달을 넘어서 공감과 재미를 함께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월급날 전후 통장잔고’를 밈으로 표현하면, 단순한 데이터가 아닌 감정과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콘텐츠로 변모한다. 최근에는 인스타그램, 트위터, 커뮤니티를 통해 이런 밈들이 확산되며 '지출 줄이기', '물가 인상', '환율 스트레스' 같은 주제들이 자연스럽게 대화의 소재가 되고 있다. 밈은 단순히 웃긴 이미지로 끝나지 않고, 그 속에 경제 현실이 담겨 있어 MZ세대가 공감하며 스스로 더 많은 정보를 찾게 만드는 효과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밈은 타인의 공감을 자극하기 때문에 경제라는 주제를 바이럴로 확산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밈을 통해 처음 경제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 관련 기사나 영상, 뉴스레터까지 찾아보는 흐름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뉴스레터로 매일 접하는 경제 정보

MZ세대는 바쁜 일상 속에서 깊이 있는 정보를 짧은 시간에 소비할 수 있는 방식을 선호하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뉴스레터다. 특히 경제에 관심이 많은 이들에게 출근길이나 아침 커피 한 잔 시간에 메일함으로 도착하는 짧고 유익한 경제 요약은 많은 이들의 루틴이 되었다. '어피티(UPPITY)', '뉴닉', '코인사이다', '피클뉴스' 같은 경제 뉴스레터는 요즘 MZ세대 사이에서 매우 인기 있는 구독 서비스다. 이러한 뉴스레터들은 경제 뉴스를 어려운 단어 없이 쉽게 풀어주고, 간단한 요약과 함께 중요한 지표나 용어에 대한 설명도 덧붙혀준다. 이 뿐만 아니라,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퀴즈나 설문, 피드백 기능 등을 통해 독자와의 소통도 활발하게 다룬다. 뉴스레터의 가장 큰 장점은 ‘내가 원하는 주제’만을 골라 소비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투자, 부동산, 소비 트렌드, 정책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맞춤형으로 받아볼 수 있으며, 모바일에서 쉽고 간단하게 읽을 수 있어 접근성과 편의성이 뛰어나다. 일목요연하게 정제된 정보가 정기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뉴스나 SNS처럼 정보가 넘치는 환경에서도 혼란 없이 경제를 배울 수 있는 좋은 수단인 것이다.

MZ세대는 예전과 같지 않게 지루한 교과서식 경제가 아니라, 흥미롭고 유익한 그들만의 방식으로 정보를 소비하는 세대다. 짧은 영상, 밈, 뉴스레터는 모두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콘텐츠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경제를 더 쉽게 접하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