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감자로 '인도'가 요즘 떠오르고 있어요. 유엔과 주요 국제기구들이 일제히 인도를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주요 경제국'으로 꼽고 있거든요. 올해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무려 6.3~6.7%를 기록할 전망이에요. 세계 평균 성장률이 2.7%인 걸 감안하면 정말 놀라운 수치죠? 중국(4.1%)이나 브라질(1.9%)같은 다른 신흥국들도 인도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기 힘든 상황이랍니다.
인도는 어떻게 이렇게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을까요?
가장 큰 비결은 바로 '사람'이에요. 인도 인구는 약 14억 명으로 중국과 맞먹는 수준이 됐어요. 사실상 중국보다도 더 많다고 봐도 무방하죠. 이 많은 인구가 곧 엄청난 내수시장이라 볼 수 있어요. 특히 젊은 층이 많아서 소비력이 강하고, 농촌 지역의 소비도 늘고 있어요. 인플레이션이 낮아지면서 사람들의 실질 소득이 늘고, 소비가 더 활발해지는 선순환이 만들어지고 있답니다.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도 큰 역할을 했어요. 도로, 철도, 항만 같은 인프라 개발에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고, 제조업 기반을 다지기 위한 세금 혜택도 많이 내놓고 있어요. 특히 물류 시스템을 개선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세제 개편이 서비스업과 제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죠. IT도시로 유명한 벵갈루루 같은 곳으로 외국 기업들의 투자도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구요.
인도는 서부에서 피어난 IT와 서비스업이 강했지만, 요즘은 제약, 전자제품, 반도체 같은 첨단 제조업도 급성장하고 있어요. 모디 총리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이 맞물리면서, 인도는 어느새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르고 있답니다.
전문가들의 평가는 ?
유엔은 인도의 올해 성장률을 6.6%로 예상하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대형 경제"라고 평가했어요. 세계은행과 IMF도 비슷한 전망을 내놓았는데, 인도가 곧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4위 경제대국으로 올라설 거라고 예측하고 있어요.
전문가들은 인도의 강점으로 탄탄한 소비력, 정부의 적극적인 공공 투자, 서비스 수출 증가, 고용 확대, 안정적인 재정 지원 등을 꼽고 있어요. 디지털 전환 정책과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도 인도 성장의 원동력이 되고 있죠.
미래 전망은
물론 인도의 고성장에는 여러 위험 요소도 있어요. 총선 이후 경제정책 변화나 주요 교역국의 무역 정책 변화는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고, 미국과 유럽의 경기 둔화, 고금리, 지정학적 갈등, 기후 변화 문제도 인도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어요. 사회적 갈등이나 극단적인 기후 현상, 농업 생산성 저하도 걱정거리죠.
그럼에도 인도의 성장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여요. 2025년에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 경제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년 후인 2027년에는 독일까지 추월해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경제대국에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어요.
인도는 이제 미국, 유럽 등 선진국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하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신흥국들과의 무역도 다변화하고 있어요. 디지털 경제와 친환경 산업 같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도 적극적이고요.
글로벌 경제 지형이 빠르게 변화하는 지금, 인도의 급부상은 단순한 통계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가져요. 세계 경제의 중심축이 서서히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이기도 하니까요.
다만, 지금 파키스탄과의 갈등이 계속 심화되어 가고 있어요. 힌두교 VS 이슬람교의 구도의 갈등인데 얼른 마무리가 잘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